ABOUT ME

세상살이에 다양한 내용을 술술풀어 여러 각도에서 정리하고 모두 공유하는 기회의 장으로 만들어 나가려고 합니다. 여러 분들의 답글로도 쑥쑥 클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Today
Yesterday
Total
  • 사례관리에 대한 이해
    사회복지 2023. 5. 6. 15:36
    반응형

    사례관리에 대한 이해를 주제로 사회복지실천의 한 가지로 작성하며 사회복지실천과정에서 사례관리에 대한 정의와 목적에 대해 서술하고, 사회복지실천현장의 한 가지를 사례를 들어 제시하고 사례관리과정을 활용하여 사례에 대한 개입 계획을 세운다. 이는 사례관리의 정의, 사례관리의 목적, 사례 설명 및 사례관리과정에 입각하여 개입 계획 수립의 세 가지로 설명한다.

    1. 사례관리의 정의

    사례관리의 정의는 복합적이고 만성적인 욕구를 가진 개인이나 가정에게 개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그들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안정적이고 자립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략적이고 계획적인 접근 방법이다. 이를 위해 협력적인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욕구사정과 함께 지역사회 자원을 연결하여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적인 실천방법이다. 이 방법은 클라이언트와 가족을 대상으로 그들의 사회적 기능을 강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를 가진 개인이나 가정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여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례관리는 개인과 가정, 지역사회, 사회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회복지서비스이다.

     

    사례관리에 대한 이해
    사례관리에 대한 이해

     

    사례관리에 대한 주요 학자는 다양한 정의를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다.

    주요학자 사례관리 정의
    전미사회복지사협회
    (NASW, 1984)
    하나의 프로그램을 통해 서비스 전달체계를 연결하고 조정하여 개인의 보호를 위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
    목슬리
    (Moxley, 1989)
    복합적인 욕구를 가진 사람들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식적, 비공식적 자원과 활동의 관계망을 조직, 조정, 유지하는 활동을 말함.
    베이커와 인탤지어터
    (Baker & Intalgiata, 1992)
    사례관리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보장하는 과정을 말하며, 기관이 클라이언트에 대한 책임을 지고 클라이언트를 위해 서비스를 조정하고 대변하며 자원을 통제하고 서비스를 구입하는 것을 포함함.
    벨로와 밍크
    (Bellow & Mink, 1996)
    사례관리는 번에 여러 원조자부터의 원조가 요구되는 복합적인 문제로 인해 삶이 만족스럽거나 생산적인지 못한 사람들을 돕는 과정.
    커머
    (Kumar, 2000)
    사례관리는 다양한 원조자들로부터의 요구가 필요한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며, 삶이 만족스럽거나 생산적이지 못한 사람들을 돕는 과정. 이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서비스와 자원을 조율하고, 적절한 지원 체계를 구성

     

    2. 사례관리의 목적

    사례관리의 목적에 대해 정의는 여러 가지가 있다.

    첫째, 클라이언트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향상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클라이언트의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문제를 파악하고 문제 해결과 조정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클라이언트의 자기 결정권을 존중하여 인간중심적인 접근을 추구한다.

    둘째, 사례관리는 클라이언트의 보호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클라이언트의 안전과 권리 보호를 위해 필요하다. 사례관리자는 클라이언트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클라이언트가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셋째, 서비스 조정의 개선이다. 사례관리자는 클라이언트가 받는 서비스가 적절하고 효과적인지를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서비스를 조정하여 클라이언트가 불필요한 중복 서비스를 받지 않도록 한다.

    넷째, 사례관리는 클라이언트에 대해 가장 적합하고 개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클라이언트의 상황과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클라이언트가 복지서비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다섯째, 중요한 사례관리의 목적은 효과적인 자원의 개발과 분배에 있다. 사례관리자는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에 맞게 자원을 조정하고 분배하여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자원의 효율성을 높이고, 클라이언트가 더 나은 복지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3. 사례 설명 및 사례관리과정에 입각하여 개입 계획 수립 사례

    사례 설명 및 사례관리과정에 입각하여 개입 계획 수립 사례를 다음과 같이 세부적으로 7단계로 그 과정을 나누고 있다.

    ­1단계 : 클라이언트 사례발굴(적극적 발굴)

    2단계 : 접수 및 사정

    3단계 : 사례보호 계획수립

    4단계 : 사례관리 실행(적극적 개입)

    5단계 : 모니터링

    6단계 : 평가 및 종결

    7단계 : 사후관리

     

    이런 바탕으로 들어 사례관리를 적용시켜 계획을 수립하면 다음과 같이 진행할 수 있다.

    학교에서 클라이언트인 학생이 괴롭힘을 받고 있어 학생이 사회복지사에게 찾아온 상황을 가정한다. (클라이언트의 방문으로 인해 1, 2. 단계를 거쳐왔음.)

       A. 문제 파악 (2단계)

         가. 학교 측에서 학생이 괴롭힘을 받고 있다는 문제를 파악함 

         나. 학생과 상담하여 괴롭힘의 세부적인 내용을 파악함

         다. 가정 방문을 통해 가정 내부 상황을 파악함

      B. 개입계획 수립 (3단계)

         가. 괴롭힘을 당한 학생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상담 및 치료를 제공

         나. 가정 내부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필요한 지원 및 교육을 제공

         다. 괴롭힘을 가한 학생에게 교육 및 상담을 제공하여 재발 방지

         라. 교사 및 학부모 등 주변인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력 방안 마련

     C. 실행 및 평가 (4단계~6단계) 및 사후 관리 (7단계)

        가. 상담 및 치료, 지원 및 교육 등을 제공하며 개입 계획을 실행함 (4, 5단계)

        나. 개입 계획의 효과를 주기적으로 평가하여 수정 및 보완함 (6단계)

        다. 학생과 가정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을 위한 계속적인 지원 제공 (7단계)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